난각에 찍히는 생산자 고유번호, 사육환경 번호 표시 잘 몰라

소비자시민모임, 500명 대상 산란일자 표시 설문조사 결과 발표

양계 농가에서는 산란일자 표시 철회를 요구하고 있으나, 소비자들 대부분은 달걀껍데기에 산란일자 표시 시행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충제 달걀 사태 이후 달걀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신선하고 안전한 달걀 소비를 위해 오는 2월 23일부터 달걀껍데기에 산란일자 표시가 시행될 예정이다.

소비자시민모임(회장 김자혜)이 2019년 2월 1일부터 2월 8일까지 전국 20대에서 60대까지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달걀 산란일자 표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0.2%는 달걀껍데기에 산란일자 표시를 시행해야 한다고 했으며, 그 이유로는 ‘달걀의 신선도를 아는데 도움이 돼서’가 가장 높았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500명 중 83.0%(415명)는 구입한 달걀 품질과 관련해 불만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불만(복수응답)으로는 달걀의 노른자가 퍼져있거나 흰자가 묽은 등 신선하지 않은 느낌(69.4%), 구입 시 깨지거나 금이 간 달걀이 있음(62.2%), 달걀을 깨트렸을 때 변색돼 있음(25.2%), 이취(이상한 냄새)가 남(21.8%)의 순으로 나타나 응답자의 상당수가 달걀 신선도와 관련한 불만 경험이 있었다.

또 달걀 산란일자 표시에 대해 응답자의 90.2%는 ‘달걀껍데기에 산란일자 표시는 시행해야 한다’고 답했고, ‘달걀껍데기에 산란일자 표시는 철회돼야 한다’는 2.0%, ‘잘 모르겠다’ 7.8%로 조사돼 달걀 산란일자 표시 시행에 찬성 의견이 높았다.

산란일자 표시 시행 찬성 이유로는 달걀의 신선도를 아는데 도움이 돼서가 59.6%로 가장 높았고, 오래된 달걀의 유통을 예방할 수 있어서(20.6%), 산란일자 표시로 달걀 유통기한을 늘리거나 속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11.3%) 순으로 나타나는 등 소비자들은 달걀껍데기 산란일자 표시가 시행되면 최근 낳은 달걀과 오래된 달걀을 구분해 신선도를 아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한편, 시중 유통되는 달걀의 유통기한이 산란일을 기준으로 표시됐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62.8%는 그렇다고 응답했으나, 28.2%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해 달걀 유통기한에 대한 일부 불신이 있었다.

또 달걀껍데기에 생산자 고유번호와 사육환경 번호 표시가 각각 지난해 4월과 8월부터 의무화 돼 찍고 있으나 이를 알고 있는 응답자는 23.2%에 불과해 표시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다.

특히, 오는 2월 23일 산란일자 표시가 시행되면 달걀껍데기에 표시되는 글자는 더 늘어나기 때문에 달걀껍데기에 표시하는 내용이 소비자들의 달걀 구매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소비자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가 강화돼야 한다.

한편, 양계농가가 주장하는 달걀 냉장 유통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72.4%는 필요하다고 응답해, 안전한 달걀 소비를 위해 냉장 유통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소비자시민모임은 소비자들은 달걀껍데기에 산란일자 표시 시행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소비자의 알권리와 안전한 달걀 소비를 위해 산란일자 표시가 예정대로 시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응답자의 88.8%는 이번 제도 시행으로 달걀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응답해 달걀 산란일자 표시 정착을 통해 달걀 신선도 및 품질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소비자시민모임 한 관계자는 "양계농가에서는 산란일자를 표시하면 소비자들이 산란일이 빠른 달걀만 선택해 유통기한이 남아도 폐기되는 달걀이 많아질 것이다고 주장하지만 설문조사 결과 85.0%의 소비자들은 현재도 달걀을 구입할 때 유통기한이 가장 많이 남은 달걀을 고르려고 노력한다고 응답했다"며 "따라서 산란일자 표시로 인한 달걀 폐기 처리에 대한 우려보다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한 안전하고 합리적인 달걀 구매 및 소비 방법을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산란일자가 빠르거나 유통기한 이내의 달걀이라도 유통 및 판매 환경에 따라 변질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달걀 냉장 유통 체계가 도입될 수 있도록 조속히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식품의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