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황인균 부장



사람중심의 과학적 위해평가로 안전한 먹거리 확보 위해 노력
안전한 먹거리 확보 위한 유해물질 등 대한 분석방법 개발 지속
현장 중심 과학적 감시기술 개발, 건강기능식품 안전관리 기반 구축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2018년 78조 9천억원으로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대비 16.3%, 국내 총생산(GDP) 대비 4.4%를 차지하며 3년간 식품산업 연평균 성장률은 3.7%로 증가하고 있는 중요한 산업이며, 우리가 먹고 있는 식품 은 식습관 변화, 1인 가구 증가 및 건강·외모를 중시하는 웰빙 소비 풍조 등 생활 환경으로 인해 계속 변화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국민들은 식품의 안전에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반면,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변화, 주변국의 급격한 산업화 및 분석기술 발전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같은 신개념 위해요소가 새로이 등장하고 수입국의 다양화 및 수입량 증가에 따른 안전취약 요인 확대로 인해 식품안전관리 요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에서는 식습관 변화, 기후변화 및 식품 유통채널 확대 등에 따라 식품으로 인한 유해오염물질의 인체노출 가능성이 점차 증가 및 식품 사건·사고 및 국내·외 위해정보로 식품 중 유해오염물질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 증가를 해소하고 국민건강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이 노력하고 있다.

첫째, 사람중심의 과학적 위해평가로 안전한 먹거리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위해평가는 식품 등에 의해 인체에 노출될 수 있는 유해물질의 안전관리 정책 결정과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소통의 과학적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 간 식약처는 국민 건강보호를 위해서 위해 우려가 제기되는 식품 중 유해물질 등의 안전관리 기준을 마련하고 사전·사후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위해평가를 수행했고, 평가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해 왔다.

특히, 다양한 노출 매체(식품·화장품·환경 등)와 노출 경로(경구·피부·호흡 등)를 통한 인체 위해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유해물질에 대한 통합위해성 평가를 2018년 부터 5년간 국정과제로 추진하기로 하고 비스페놀류 등 19종에 대한 평가에 착수해 2019년 1단계 유해물질 14종(비스페놀류 3종, 프탈레이트류 7종, 파라벤류 4종)에 대한 통합위해평가를 완료 했고 인체노출안전기준에 대한 지속적인 (재)평가를 지속할 계획이다.

또한, 국민의 식이 및 생활용품(위생용품 및 기구 및 용기·포장)으로 인한 유해오염물질 인체 노출량 적정관리를 위해 유해오염물질(잔류농약, 곰팡이독소 등)의 노출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위해평가를 수행하는 한편,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위해평가 시스템 마련함으로써 유해오염물질의 안전관리를 위한 기반을 갖추고자 한다.

기후변화 및 국제무역 증가 등 국내·외 환경요인 변화에 따른 식중독 발생 증가가 예측되는 닭고기에서의 살모넬라 및 치즈에서의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등 주요 식품-식중독균에 대해 생육예측모델을 개발했으며, 미생물 모니터링 정보, 생육예측모델 DB, 용량반응모델 DB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원스톱 미생물 위해성평가 시스템(K-MRA)’을 구축해 우리나라 미생물 위해성평가 인프라 강화의 기반을 마련했다.
 
둘째, 소비자의 안전한 먹거리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유해물질 등에 대한 분석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기후변화, 환경오염에 따른 식중독 증가, 해양 생물독소 출현 등 새로운 건강위해요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가 간 무역협정 확대로 수입되는 식품의 종류와 양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관리를 위한 새로운 시험법 마련이 필요하고 분석법의 국제적 조화 및 최신 분석장비 보급으로 기존 시험법에 대한 한계가 발생함에 따라 시험법 개선 등이 요구되고 있다. 

식약처는 국제적 동등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에서 제시하는 검증 절차에 맞추어 시험법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잔류농약의 경우 농산물 농약은 383종에서 473종으로 축산물 농약은 27종에서 54종으로 동시다성분 시험법을 확대했고, 축산물 중 동물용의약품은 90종에서 99종으로, 수산물 중 동물용의약품은 50종에서 62종으로 동시다성분 시험법을 확대했다.

유해오염물질 시험분석 기반 강화를 위해 식품 중 유해오염물질 시험법 라이브러리 구축 및 시험법 확립 중장기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유해오염물질 신속 대응을 위한 체계를 구축했다. 신규 유해오염물질(곰팡이, 자연독소, 방사능) 시험법을 확립해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했다. 인체-식품 간 식중독균 시험법 검증을 통해 식중독 원인조사 시험법의 전처리 및 유전자 검출법 및 즉석섭취·편의식품류 식중독바이러스 전처리 시험법을 개발하고 리스테리아 유전자시험법을 개선했다.

또한 병원성대장균 및 살모넬라 등 주요 식중독균의 각 세균별로 식중독 발생 기전과 관련 있는 병원성유전자나 독소 유전자, 혈청형 및 유전적 상동성 등 중요한 특성을 분석해 식중독균통합정보망 시스템에 1,640주(누적 12,054주)에 대한 특성 정보를 축적했고, 중요도가 높은 균주들은 선별해 전장유전체를 분석해 2,000건(누적 3,000건)의 유전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했다. 식품첨가물, 기구·용기·포장 및 위생용품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신속하고 정확한 시험법을 개선 및 개발했다. 특히, 국내외 위해정보에 따른 긴급시험법 마련을 통해 여건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셋째, 부정·불량식품의 근절을 위해 현장 중심의 과학적 감시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 고추 다대기를 혼합한 고춧가루, 양파를 혼합한 다진 마늘 등 유사·불법 원재료 혼용 및 허위(虛僞) 표시된 불량식품을 제조·유통해 소비자를 기만하고 부당한 이득을 취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해외 직구를 통해 구매하는 건강식품 등에는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는 원료나 국내 반입이 금지된 성분의 함유로 인해 소비자 피해 우려가 있어 원재료의 정확한 표시와 소비자들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를 과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판별기술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형태학적으로 유사하거나 단순가공(절단, 분쇄 등)으로 육안구별이 어려운 식품원료 및 수산물의 진위 판별을 위해 유전정보를 활용한 과학적 진위판별법 개발을 확대했고, 또한, 현장에서 신속하게 식품원료의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현장 적용 신속 검출법 및 검출키트를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식품 중 부정물질 실태조사 및 신종 부정물질 탐색을 위해 부정물질 시험법을 마련해 연 600건의 식품·건강기능식품을 분석하고, 부정물질 검출 정보, 연구현황 및 관련 정보를 유관기관과 공유함으로써 식품에 부정물질이 혼입될 수 없도록 식품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넷째, 영양·식생활 및 건강기능식품 안전관리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최근 1인 가구, 맞벌이 가구 증가 및 고령화 등에 따른 식생활 패턴 변화로 영양결핍 또는 과잉의 영양불균형 문제가 상존하게 됐다. 특히 당류, 나트륨 등 건강 위해가능 영양성분의 과도한 섭취는 고혈압, 비만, 당뇨병 등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과학적 기반자료로 우리나라 국민들의 나트륨, 당류 등 위해가능 영양성분의 섭취 실태 조사 등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이 개발됨에 따라 식품 등의 안전관리를 위해 최신의 제외국 시험법과 비교·검토해 선제적인 시험법 개선이 요구된다.

영양성분의 결핍 또는 과잉 섭취로 인한 국민건강상의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특정 영양성분 사례분석이 가능한 ‘영양위해평가 플랫폼’을 구축했다. 영양위해평가 플랫폼은 식품 중 영양성분 함량 DB 및 식품섭취량 DB를 연계해 특정 영양성분 노출량 산출 및 위해평가가 가능한 시스템이며, 국가 및 민간기관별 식품 영양성분 DB를 취합하고, DB간 호환이 될 수 있도록 구축한 시스템이다.

또한 위해가능 영양성분에 대한 섭취량 심층 분석 결과 1일 나트륨 섭취량은 2010년 4,831㎎에서 2017년 3,477㎎으로 약 1,400㎎ 감소했으나 WHO 섭취권고기준인 2,000㎎ 대비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최근 3년간 총 당류 섭취량은 2015년 76.9g(1일 평균)에서 2017년 64.7g(1일 평균)로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총 당류를 전체 에너지 20% 이내로 섭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 기준에 적용해 분석한 결과 총 당류를 에너지의 20% 이상 섭취하는 비율이 2015년 23.7%에서 2017년 18.5%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건강기능식품 중 특이성이 없는 지표성분에 대해 재설정된 지표성분(구아검가수분해물 중 갈락토만난, 호로파종자식이섬유 중 4-하이드록시이소루신, 구아바잎추출물 중 엘라그산, 알로에전잎 중 알로인 A·알로인 B)의 시험법을 개발해 건강기능식품 관리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확보했다.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 지원을 위한 ‘맞춤형 현장기술지원 상담’ 32회 및 기능성 원료 신청을 돕기 위한 ‘모둠토의’ 23회를 실시해 업계의 제품활성화에 도움을 줬다.

마지막으로 제조과정 중 발생되는 유해물질 저감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업체와 함께 노력하고 있다. 

최근 CODEX 등 국제적으로 비의도적 오염물질의 관리가 기준·규격 관리에서 저감화 관리로 전환되는 추세로서 실질적인 저감화 기술을 통한 노출 저감화 관리 및 산업체 저감화 기술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식품 공급사슬 단계별 저감화 기술을 개발·보급하고, 식탁 안전을 위한 대국민 조리 및 섭취가이드 제공이 필요하다. 식품 제조·조리·가공 중 비의도적으로 생성되는 유해화학물질의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중금속과 같은 일반적인 오염물질과 달리 실제 조리 후 섭취를 통한 노출량 조사와 생성되는 양을 줄일 수 있는 저감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무기비소가 많이 함유된 톳·모자반 제조가공 중 무기비소 저감기술 연구를 통해 공정 과정 중 80℃, 5분 이상 열수침지를 추가함으로써 무기비소가 90% 이상 저감되는 기술을 개발했고, '무기비소 저감화 가이드라인' 및 무기비소 기준(1 ppm)을 충족하도록 배합비율을 조정하도록 홍보하고 향후 산업체의 무기비소 저감화 기술지원을 위한 기초를 마련했다.

또한 가정식 제조 재래된장의 아플라톡신 오염도 조사 및 안전관리 컨설팅을 실시해 제도권 밖의 전통식품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모델을 제시하는 한편 ‘개인 맞춤형 식품안전섭취 가이드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해 자발적인 노출 관리를 유도하고 맞춤형 안전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축산물을 대상으로 실제 식생활에서의 섭취상태를 고려한 총식이조사(TDS)를 통해 유해물질(벤조피렌, 아크릴아마이드 등)의 노출량 평가 사업(5개년 사업, 2019.~2023.)을 수행했으며, 기준규격이 설정돼 있는 3-MCPD 등에 대해서는 기준·규격 재평가를 위한 위해평가를 수행했다. 제조 과정 중 생성되는 유해물질(아크릴아마이드)의 저감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홍보했으며 국내 관리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지방함유 식품(Glycidyl esters, 결합형 3-MCPD 등)을 대상으로 오염도 조사(2019 ~ 2020.)를 실시했다.

식약처는 식품의 기준·규격 제·개정 근거마련, 불량식품 근절 지원, 유해물질 저감화기술개발 및 식중독 차단 등 사전 예방적 식품안전관리체계 마련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다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식품의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