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 시민·소비자단체 '사회적협의회' 참여 중단에 유감 표명


식품업계는 최근 경실련의 유전자 변형 농산물(GMO) 표시제도 개선 사회적협의회 참여 중단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한국식품산업협회(회장 이효율)는 중소기업식품발전협회, 한국대두가공협회, 한국장류협동조합, 한국전분당협회,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등 6개 식품관련 단체들과 함께 지난 17일 개최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 등 8개 시민·소비자단체의 'GMO 사회적 협의회 중단'에 대해 "사회적협의회는 GMO관련 현안을 상호 협의 하에 조정할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한다"며 일방적인 중단에 다시 한 번 유감을 표하며, 협의회가 다시 재개되기를 기대한다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 ‘GMO완전표시제’와 ‘학교급식 퇴출’을 약속했다. 우리 아이들이 먹는 음식에 GMO가 포함돼 있는지 알고 싶다는 국민의 목소리로 2018년 12월 'GMO 표시제도 개선 사회적협의회'가 출범했다.

식품업계에 따르면 그간 일방적으로 오해를 받아오던 GMO에 대해 객관적으로 논의해 볼 수 있겠다는 큰 기대를 갖고 지난 9개월 동안 10여 차례 'GMO 표시제도 개선 회의에 참여해 왔다. 하지만 최근 함께 했던 시민·소비자단체가 이에 대한 논의를 중단해 협의회가 무산될 위기에 처해 있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이날 시민·소비자단체는 협의회에서 GMO 완전표시제에 대한 실마리도 찾을 수 없었고, 시행도 불가능하다는 입장만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식품업계는 "시민·소비자단체가 주장하는 모든 주제를 우선적으로 논의했으며, GMO 완전표시제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대가 아니라 과학적 검증방법과 수입식품과의 역차별 해소 등 현실적인 대안을 가지고 논의하자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어 "실제로 시민·소비자단체가 주장하는 GMO 완전표시제는 수입식품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불가능하고, 국내 식품의 역차별과 생산비용 증가, 소비양극화, 이로 인한 고용 감소, Non-GMO 원료의 지속 조달의 어려움 및 소비자 물가 상승 등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식품업계는 "이러한 여러 문제점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나 대책 없이 완전표시제를 전제로 시행시기 등을 정하자는 주장에 대해 신중한 검토가 필요했기 때문에 이의를 제기한 것"이라며 "GMO 완전표시제 시행 이전에 협의회 안에서 이를 점검하고 함께 논의해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자고 제안했는데 협의회가 출범한 지 1년여가 됐지만 제대로 된 논의조차 시작하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중단돼 아쉬움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업계는 시민·소비자단체는 일방적으로 주장만 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상대의 목소리에도 귀기울여주는 모습을 보여주시길 간곡히 요청했다.

식품업계는 "GMO의 안전성과 관련해서도 구체적인 근거를 가지고 논의해 볼 것을 지속 요청했지만 시민·소비자단체는 GMO 안전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논의를 회피하고, 잘못된 연구결과를 인용해 지속적으로 국민들에게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기관이나 절대 다수의 과학자들이 안전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편견에 치우친 시민·소비자단체의 주장에 많은 국민들은 GMO를 나쁜 식품이라고 오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식품업계는 GMO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힌다"며 "이러한 절차 없이 곧바로 GMO 완전 표시제를 시행한다면, 식품산업계는 회복이 어려운 타격을 받게 될 것이 자명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식품업계는 "GMO는 오랫동안 우리 사회의 갈등요인 중 하나였다. 수년간의 시행착오를 거쳐 어렵게 만들어진 사회적협의회는 GMO관련 현안을 상호 협의 하에 조정할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한다"며 "아직 협의회를 통해 여러 가지 조율이 필요한 논의 주제들이 남아있다. 더 건전하고 생산적인 논의의 장이 지속되길 희망하며, 책임 있는 자세로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식품의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