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업 현장 애로 해소, 식량자급률 제고 등 농업 분야 R&D 강화
가루쌀 신품종 육성·재배 기술 확립, 라면·국수·고추장 등 제품 개발
기능성 소재화 기술 개발·보급 등 첨단 푸드테크 산업화 지원 강화
농촌진흥청, '2024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 발표

서효원 농촌진흥청 차장이 19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농촌 일손 부족 해결, 병해충 피해 최소화 등 농산업 현장 애로 해소 및 식량자급률 제고와 기후변화 대응 등 농업 분야 공공 R&D 강화 등을 골자로 한 '202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서효원 농촌진흥청 차장이 19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농촌 일손 부족 해결, 병해충 피해 최소화 등 농산업 현장 애로 해소 및 식량자급률 제고와 기후변화 대응 등 농업 분야 공공 R&D 강화 등을 골자로 한 '202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농진청은 올해 대내외 환경변화 속에서도 국정·농정과제의 차질 없는 이행과 과학기술의 융합·혁신·협업을 통한 활기찬 농업·농촌 실현에 조직의 역량을 집중키로 했다.

특히 기계화가 미흡한 밭 농업을 중심으로 농작업의 전 과정을 기계화하고, 자율주행 농업로봇 상용화에 주력키로 했다.

또 가루쌀 생산 안정화 및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해 저장·재배 안정성이 향상된 가루쌀 신품종 육성과 재배 기술을 확립하고, 밀가루를 대체하는 가루쌀을 활용한 라면·국수·고추장 등 제품 개발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농산물, 농식품 부산물의 고부가가치 자원화를 위한 새활용(업사이클링)과 기능성 소재화 기술 개발·보급 등 첨단 식품 기술(푸드테크) 산업화 지원을 강화한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과학기술의 융합·혁신·협업으로 활기찬 농업·농촌’을 실현하기 위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19일 발표했다.

특히 올해 △농산업 현장 애로 해소 △농업 분야 공공 R&D 강화 △미래 신성장 동력 확충 △농촌 활력화 및 국제기술 협력 등 네 가지 과제를 중점 추진하고, 융복합 협업 활성화와 도전적 연구 환경 조성 등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조재호 청장은 “우리 농업·농촌이 마주한 어려운 문제 해결에 민관 구분이 있을 수 없다.”라며 “농촌진흥청 전 직원은 올해 농업과학기술 혁신에 주력하고, 유관 부처·산업체·대학 등과의 적극적인 협업 및 국민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농산업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미래 신성장 동력 확충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농진청이 발표한 2024년 주요 업무계획 내용을 소개한다.

■농작업 기계·자동화 등 농산업 현장 애로 해소

농진청은 우선 농촌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화가 미흡한 밭 농업을 중심으로 농작업의 전 과정을 기계화하고, 자율주행 농업로봇 개발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마늘 수확기(3개소), 양파 정식기(3개소) 등 수요가 많은 작물을 중심으로 성능 개선을 위한 현장 실증을 확대하고, 고추·배추 정식기의 국산화를 추진하며, 과수원에 특화된 자율주행 로봇 상용화를 지원하고, 로봇팔 제어 기술 연구 및 국산 로봇 착유기의 농가보급을 확대한다.

기후변화 등으로 야기된 병해충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찰·방제 체계를 사후 대응에서 사전 예방 방식으로 개선하고, 생물안전 등급(Biosafety Level) 3등급 식물 병해충 격리 시험 연구시설 완공(’24년 6월 인증)에 따라 고위험 병해충 대응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스마트폰 사진으로 병해충 진단이 가능한 ‘인공지능 병해충 영상진단 앱’을 보급한다.

또 디지털영상 기반 작황 분석을 통한 쌀 생산량 예측 및 저장·유통 기술로 농산물 수급 안정을 지원하고, 농가경영 안정을 위한 기술을 개발·보급한다.

■농업 분야 공공 연구개발(R&D) 강화

농진청은 가루쌀 생산 안정화 및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해 저장·재배 안정성이 향상된 가루쌀 신품종 육성과 재배 기술을 확립하고, 용도별 맞춤형 고품질 밀 품종 및 논 재배에 적합한 콩 품종을 육성한다.

‘바로미2’ 품종의 수발아(穗發芽 이삭에 싹이 트는 것) 현상을 개선한 '전주695호'의 지역 적응 시험을 추진하고, 조기경보 기능을 탑재한 ‘수발아 발생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는 한편 밀가루를 대체하는 가루쌀을 활용한 라면·국수·고추장 등 제품 개발을 지원하고, 민간 협의체와 협업(지역별 생산-소비 모델과 연계 16개소)저장·가공 이용 기술 및 정보를 확산한다.

또 제빵용, 면용 등 식미를 개선한 소비자 선호용 국산 밀 품종을 육성하고, 수량성과 내습성을 향상한 논 재배에 적합한 콩 품종을 개발하는 등 밀·콩 등의 자급률 향상에도 나선다.

이어 신농업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2단계 사업 추진(’24~’27)으로 이상기상 등 기후변화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 개발 기술의 실용화를 추진한다.

꿀벌 수급의 안정화를 위해 '꿀벌자원 육성 품종 증식장'을 3개 지역(전남 영광, 경남 통영, 충남 보령)에서 올해 5개 지역(전북 군산, 전남 진도 추가)으로 확대 구축하며, 우수 꿀벌 품종 증식을 위해 9개 지역에 전문 농가를 육성하고,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사육모델을 15개 지역 250여 농가에 보급한다.

■미래 신성장 동력 확충

스마트농업 확산을 위해 시설·노지·축산 등 분야별 핵심기술을 실용화하고, 정보(데이터) 수집·활용과 인력양성을 위한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등 지능형 농장(스마트팜) 기반을 확대한다.

주산 작목 중심의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지구’를 2026년까지 9개소를 조성한다. 올해에는 정보 수집 등 기반을 갖추고, 향후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로봇 기술과 예측·분석 기술을 단계적으로 투입한다.

'농업과학기술정보플랫폼(ASTIS)' 대국민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해 농산물 안전, 가축분뇨 등의 분석자료와 농산물종합가공 등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바이오 융복합 혁신기술 개발에도 적극 나선다. 유전자원의 확보·관리와 이용 증대, 디지털 육종 등 생명공학 핵심 분야 연구 역량을 확보해 친환경 생명공학(그린바이오) 산업 생태계를 지원한다.

국가 재난 상황에 대비해 유전자원 4만점을 중복 보존하며, 보유 자원에 대해 유용 형질(기능성, 병 저항성 등) 특성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업·대학 등과 공유할 계획이다. 

또 농생명 빅데이터를 확충하고 '농생명슈퍼컴퓨팅센터'를 활용해 디지털 육종 역량을 향상한다. 작물의 유전정보를 기반으로 수량, 크기, 기능성 등의 특성을 강화한 디지털육종모델을 개발하고, 슈퍼컴퓨팅 활용 기술을 육종기업 등에 확산한다.

농진청은 농산물, 농식품 부산물의 고부가가치 자원화를 위한 새활용(업사이클링)과 기능성 소재화 기술 개발·보급 등 첨단 식품 기술(푸드테크) 산업화 지원을 강화한다.

농산부산물을 활용해 축산냄새 저감제 등에 재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업사이클링 산업 현장에서 겪고 있는 애로 기술을 적극 지원하는 등 농업과 식품산업을 연계한 농산부산물의 순환 자원화를 강화한다.

또 국산 농산물의 기능성 원료·소재 데이터베이스(DB)를 지난해 3,200건에서 올해 3,600건으로 확대하고, 근육감소 예방, 심혈관 질환 등을 개선하는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는 등 소비자 요구에 부합하는 기능성 소재 발굴 및 상품화 기술을 개발한다.

 

■농촌 활력화 및 국제기술 협력

K-농업기술 확산을 통해 국제사회의 식량안보 강화에 기여하고, 현장에서 체감하는 혁신 기술을 적용해 농식품 수출 증대를 지원한다.

농식품부의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과 연계 ‘아프리카 벼 우량종자 생산사업’(라이스피아)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해외시장 진출용 고부가 종자·소재 사업화를 위해 한·우루과이 협력 연구실을 오는 5월 개소하는 등 현지에 운영할 계획이다.

또 딸기, 포도, 복숭아 등 고급(프리미엄) 농산물 수출 유망단지 5개소를 대상으로 품질관리와 상품화 기술을 지원한다. 

농진청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융복합 협업을 활성화하고, 연구관리제도 개선 및 전문연구실 개편 등 연구개발(R&D) 혁신을 지속해서 추진한다.

현안 해결을 위한 종횡무진 프로젝트(농작물 병해충 예찰·방제 등 8개)를 추진하고 협업·소통 오픈랩 마련 등 협업문화를 조성한다.

또 국가 연구개발(R&D) 예산 운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중복과제 최소화, 융복합 규모화 등 기관 고유 과제를 재편하고, 혁신적·도전적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한 실패 용인, 정성 평가제도 도입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국가 현안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국가 임무 중심의 전문연구실을 통합·규모화해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높이고 농업 난제 해결을 위한 협업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한국식품의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